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마전리

시민과 함께하는 포천시 - 홈페이지 방문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우리고장의 지명유래를 소개해드립니다.

연혁

  • 1912년 행정구역으로 포천군 청량면 마전리이다. 삼을 많이 재배하였으므로 삼밭골 또는 마전, 마곡동이라 하였다. 1914년 지방행정구역 개편 때 마전리 일부를 마산리로 넘겨주고 청량면 청량리 일부를 병합하여 마전리라 해서 가산면에 편입시켰다.

지명 유래

마을

가재울
  • 삼밭골 서쪽에 있는 마을이다. 옛날에 곱고 좋은 삼베를 많이 생산하였을 뿐 아니라 또한 이 베로 의복 등을 잘 만드는 재주가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그 외에도 가재가 많았다고 하여 생긴 이름이라고도 하나 어원적으로 “가재”는 가장자리를 뜻하므로 산이나 들의 가장자리에 자리잡은 마을로도 해석된다.
밤밭, 주막거리
  • 가재울 서남쪽에 있는 마을이다. 밤나무가 많아서 밤밭이 되었다고 한다. 또한 이곳은 옛날에 한양에서 원산으로 가는 길목의 번화가로 상가는 물론 주막 등이 있어서 주막거리로도 부르고 왜정 때는 주재소가 있었던 곳이다.
샛말
  • 삼밭골과 가재울 사이에 있는 마을이다. 마을과 마을 사이에 있어서 샛말이 되었다고 한다.
송골
  • 밤밭 동쪽에 있는 마을이다. 소나무가 많아서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하고 또는 아산 이씨 초당 이혐 선생이 팔송정이라는 정자를 지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황새목이
  • 가재울 서쪽에 있는 마을이다. 지형이 황새의 목처럼 생겨서 황새목이가 되었다고 한다.
뒷골
  • 삼밭골 뒤에 있는 마을이다. 마을 뒤에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삼밭골
  • 가재울 동쪽에 있는 마을이다. 옛날에 삼밭이 많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가재울고래
  • 가재울 앞에 있는 논들이다. 마을 이름을 따서 지은 이름이라고 한다.
고두내벌, 직천농장
  • 가재울 북쪽에 있는 들이다. 벌판도 곧을 뿐 아니라 옆에 흐르는 개울도 아주 곧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생각된다. 근래에 큰 농장이 생기면서 이 들을 직천농장으로도 부른다.
여우내벌
  • 밤밭 서북쪽에 있는 들이다. 여우내라는 개울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샘모루
  • 삼밭골 서북쪽에 있는 들이다. 사철 끊이지 않는 샘물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 물은 옻에 효험이 있다고 하여 약물로도 사용하여 왔다.
뒷가재울
  • 가재울 뒤 서쪽에 있는 고래논 고래이다. 마을 이름을 따서 지은 이름이다.

거지산
  • 송골 동쪽에 있는 산이다. 마전저수지 위쪽이 된다. 엣날에 나무가 없는 민둥산으로 토피가 없었기 때문에 산이 헐벗었다고 하여 거지산이 되었다.
동네뿌리
  • 가재울 윗마을에서 서북쪽에 있는 산부리이다. 뻗어 내려온 등성이가 마을 뒤에 이르러서 산봉우리를 이루면서 힘차게 뭉쳐져 있기 때문에 생긴 이름으로 생각된다.
됫박구댕이
  • 삼밭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아주 작은 골짜기로 둥그런 됫박처럼 생겨서 붙여진 이름으로 생각된다.
무재번댕이
  • 됫박구댕이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다. 경사가 아주 완만하고 평평하면서도 긴 번댕이를 이루고 있는 골짜기여서 생긴 이름으로 생각된다.
새골
  • 가재울 남쪽에 있는 골짜기다. 나무가 없는 민둥산이어서 사태등으로 패어나기도 하고 낭떠러지도 생긴 산이라고 한다. 낭새가 굴을 파고 새끼를 치며 살고 있기 때문에 새골이 되었다고 한다.
옹장골
  • 차돌바위 서북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작은골
  • 큰골 옆에 있는 골짜기다. 골짜기가 작아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장군터
  • 옹장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다. 옛날에 장군이 살았었다고 하여 장군터가 되었다.
지르네미
  • 옹장골 위에 있는 골짜기이다.
큰골
  • 삼밭골 동쪽 수원산 줄기에 있는 골짜기다. 골짜기가 크다고 하여 큰골이 되었다. 이 골짜기 안에 옹장골, 지르네미, 매봉재, 무재번댕이 등이 있다.
큰산소봉우리
  • 가재울 북쪽에 있는 작은 봉우리다. 아산 이씨로 이조참판을 지내신 분의 묘가 있다. 아산 이씨 문중에서 큰산소로 부르고 있어서 붙여진 이름으로 생각된다.

개울, 보

삼밭골개울
  • 삼밭골 앞에 있는 개울이다. 마을 이름을 따서 지은 이름이라고 한다.
송골개울
  • 송골 앞에 있는 개울이다. 마을 이름을 따서 지은 이름이다. 마전저수지를 막으면서 이 개울물을 저수하고 있기 때문에 송골 앞의 개울물은 끊겼다.

기타

정자고개
  • 황새목이에서 가재울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얕은 고개로 큰 정자나무가 있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괘기고개
  • 샛말에서 우금리 괘기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괘기로 넘어가는 고개여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방축동
  • 삼밭골에 있는 연못 뚝이다. 뚝이 매우 크며 경치가 좋고 나무도 많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시대 영의정을 지낸 유씨 성을 가진 분이 연못을 파고 뚝을 조성하였다고 하며 배를 매는 말뚝이라고 하는 배말뚝도 2개가 있다. 이 말뚝을 쓰러뜨리거나 나무를 베거나 하면 마을이 안좋다는 속설이 있어서 일체 나무를 건드리지 않는다고 한다. 나무가 그냥 쓰러져도 쓰러지는 쪽의 집에 불길한 일이 생긴다는 속설이 있다.
장터모퉁이고개, 뒷가재울고개
  • 아랫말에서 송골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내촌장과 송우리장을 보러 다니던 고개여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마전교
  • 여우내 개울에 있는 다리이다. 마전리 마을명을 따서 지은 이름이다.
말배미
  • 응덩배미 북쪽에 있는 논이다. 말처럼 생겨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송골고개, 웃가재울고개
  • 밤밭에서 가재울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마을 이름을 따서 지은 고개 이름이다.
송골저수지
  • 송골에 있는 저수지다. 마을 이름을 따서 지은 이름이다. 지금의 마전저수지이다.
쌍방죽
  • 고두내벌에 있는 방죽이다. 2개의 방죽이 나란히 있어서 쌍방죽이 되었다고 한다.
여우바위
  • 삼밭골 동북쪽에 있는 바위이다. 여우가 많이 서식하고 있다고 하여 생긴 이름이다.
응덩배미
  • 가재울에 있는 매우 큰 논이다. 이 논에 있는 웅덩이가 샘이 잘나서 다른 논까지 물을 관개하였다고 한다. 샘이 잘 나기로 이름난 웅덩이가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장군수
  • 옹장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의 우물이다. 장군터에 있는 우물이라고 하여 장군수가 되었다.
직천윗방죽
  • 직천농장 위쪽에 있는 저수지이다. 직천농장 위쪽에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지금은 마전낚시터이다. 이 저수지 주위는 딸기밭 황무지였으나 서광휘라는 분이 이 방죽을 파고 황무지를 개간하여 농지를 만들었다고 한다. 서광휘라는 분의 공덕비가 세워져 있다.
차돌바위
  • 큰골에 있는 바위이다. 바위가 희끗희끗하다. 차돌이 섞인 것 같다고 하여 차돌바위가 되었다.
황새목이저수지
  • 황새목이 앞에 있는 저수지이다. 마을 이름을 따서 지은 이름이다. 지금은 황새목이 낚시터이다.

지명 유래 제보자: 이용본, 이용협, 이백열, 윤희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