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우금리

시민과 함께하는 포천시 - 홈페이지 방문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우리고장의 지명유래를 소개해드립니다.

연혁

  • 1912년 행정구역으로 포천군 청량면 우금리이다. 1914년 지방행정 구역 개편 때 우금리 일부를 금현리에 넘겨주고 남은 지역을 우금리라 하여 가산면에 편입시켰다.

지명 유래

마을

넘말, 너머말, 상괴화동
  • 괘기 동남쪽 너머에 있는 마을이다. 괘기 너머에 있는 마을이어서 넘말 또는 너머말이 되었고 괘기 위쪽이라고 하여 상괴화동으로도 부른다.
괘기, 괴화기, 괴화동
  • 넘말 북쪽에 있는 마을이다. 엄청나게 큰 느티나무가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마치미
  • 북정이 서쪽에 있는 마을이다. 옛날 부족 사회 시대에 이곳에서 큰 전쟁이 있었다고 한다. 치열한 혈전 끝에 전쟁을 마치었으므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북정이, 북정동, 불정동
  • 큰넉고개 동쪽에 있는 마을이다. 불정산 밑이 되므로 북정이, 북정도, 불정도 등으로 불리운다.
원촌
  • 조촌 옆에 있는 마을이다. 원씨가 많이 살았기 때문에 원촌이 되었다고 한다.

낭밑
  • 샛벌 북쪽에 있는 들이다. 낭떠러지가 있는 들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동가낭개
  • 괘기 서남쪽에 있는 들이다.
안터
  • 괘기 동남쪽에 있는 들이다. 괘기 마을 안쪽에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가둘기, 개두들기
  • 괘기 서북쪽에 있는 산이다. 산 위가 들처럼 평평하게 생기었다.
고싱아골
  • 바르네미 북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산삼이 있어서 불이 나도 타지 않는다는 속설이 전해오고 있다.
무당바위골
  • 괘기 동쪽에 있는 산이다. 무당바위가 있는 산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납작골
  • 마치미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다. 지형이 평평하고 납작하게 생겼다고 하여 납작골이 되었다.
매봉재
  • 한수동 동남쪽에 있는 산이다. 옛날에 매를 날려 사냥을 하던 곳이어서 매봉재가 되었다고 한다.
바르네미
  • 피나무선작 북쪽에 있는 산골짜기로 바른골의 위가 된다.
큰절터
  • 고싱아골 북쪽에 있는 골짜기다. 큰 절이 있었다고 하여 큰절터가 되었다.
사태난골
  • 옥금산 서쪽에 있는 골짜기다. 사태가 자주 났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소라니
  • 가둘기 동북쪽에 있는 산이다. 소나무가 많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옥금산
  • 주봉산 동쪽에 있는 산이다. 흑옥이 나오고 또한 금광이 있는 산이다. 옥과 금이 나오는 산이라고 하여 옥금산이 되었다.
소못돌아간골
  • 석숭바위 동쪽에 있는 골짜기다. 사람은 다닐 수 있으나 바위 때문에 소가 다닐 수 없어서 지어진 이름이다.
안장골
  • 옥금산 남쪽에 있는 골짜기다. 산등이가 말안장처럼 생기어서 안장골이 되었다고 한다.
옥금수골
  • 괘기 동쪽에 있는 골짜기다. 옥금산에서 흐르는 물이 이 골짜기 앞을 흐르고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응개골, 은포동
  • 옥금산 중앙에 있는 봉우리다.
작은골
  • 큰골 옆에 있는 골짜기다. 큰골에 비하여 작은 골짜기여서 붙여진 이름이다.
재깟
  • 전산 동쪽에 있는 산이다. 이 산 너머에 절이 있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전산
  • 괘기 남쪽에 있는 산으로 원촌 앞이 된다. 옛날에 전씨가 많이 살았다고도 하고 또한 원촌 앞에 있어서 전산이 되었다고 한다.
주봉산
  • 괘기 동쪽에 있는 산이다. 산이 가옥의 지붕 모양이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진새미골
  • 쉬는돌 남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이곳에 좋은 샘이 있어서 진새미골이 되ᄋᅠᆻ다고 한다.
큰골
  • 남대평 동쪽에 있는 골짜기다. 골짜기가 이 부근에서는 제일 크기 때문에 큰골이 되었다고 한다.
피나무선작
  • 안장골 북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피나무가 많아서 피나무선작이 되었다고 한다. 근래에도 이곳에서 피나무 껍질을 채취한다고 한다.
한수동
  • 재깟 남쪽에 있는 산이다.
행당골
  • 소못돌아간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다.
망대봉
  • 터골 남대평 남쪽에 있는 봉우리이다. 왜놈들이 우리나라를 망하라고 쇠말뚝을 박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절터
  • 미치미 동쪽에 있는 산기슭이다. 옛날에 절이 있었기 때문에 절터가 되었으며 지금은 밭이다.
동무뿌리
  • 우금저수지 옆에 있는 산이다. 풍수지리상 마치미 부락의 노적봉이라고 한다. 이 마을이 정착하게 된 뿌리가 된다고 지은 이름으로 생각된다.
봉화뚝
  • 마치미 남쪽에 있는 산이다. 옛날에 봉수대가 있어서 봉화뚝이 되었다고 한다.
국사봉
  • 마치미 동쪽에 있는 산으로 불정산이 된다. 이 산의 최고봉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개울, 보

앞개울
  • 뒷개울 남쪽에 있는 개울이다. 조촌 앞을 흐르는 개울이어서 앞개울이 되었다.

기타

가마바위
  • 무당바위골 서북쪽에 있는 바위이다. 가마처럼 생겨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괴야교
  • 괘기 서쪽에 있는 다리이다. 괘기 벌판에 있는 다리여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너러바위, 쉬는돌, 옥동반석, 평바위
  • 옥금산 서쪽에 있는 바위이다. 50여 명이 앉을 만하고 푸른 물과 단풍나무가 절경을 이루고 있는 곳이다. 절경속의 평평한 반석이어서 옥동반석이라 부르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나무꾼이 쉬어가는 바위라고 하여 쉬는돌이 되었으며 넓고 평평한 바위이어서 너러바위 또는 평바위라고도 부른다.
무당바위
  • 괘기 동쪽에 있는 바위이다. 무녀들이 위하고 비는 바위이어서 무당바위가 되었다.
바우배기
  • 동가낭개 동쪽에 있는 논이다. 바위가 박힌 논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지금은 그 바위가 없어졌다.
샛고개
  • 동가낭개 동쪽에 있는 고개이다. 원촌에서 마치미로 넘어가는 고개로 산과 산 사이에 있는 고개여서 샛고개가 되었다고 한다.
석숭바위
  • 사태난골 동쪽에 있는 바위이다. 옛날에 자식을 못 낳는 사람들이 치성을 드리는 바위여서 생긴 이름이다.
우금저수지
  • 마치미에 있는 저수지이다. 우금리명칭을 따서 지은 이름이다.
안터고개
  • 조촌에서 원촌으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안터들과 접해 있는 고개여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외배미
  • 바우배기 동쪽에 있는 논이다. 외따로 떨어져 있는 논이어서 외배미가 되었다고 한다.
우금교
  • 괘기에서 고인돌로 건너가는 다리이다. 우금리 명칭을 따서 지은 이름이다.
작배기고개
  • 원촌에서 마치미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옛날 아홉 해 흉년에 자식을 잡아먹고 이 고개에서 자빠져 죽었다고 하는 끔씩한 이야기가 전하여 오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한정고개
  • 괘기에서 마치미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옛날 이 고개에 한증막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왜고개
  • 괘기에서 삼밭골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왜놈이 산혈을 끊고 고개를 내면서 무쇠 말뚝을 박았다고 한다. 왜놈이 만든 고개여서 왜고개가 되었다고 한다.

지명 유래 제보자: 이용춘, 조찬묵, 원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