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정교리

시민과 함께하는 포천시 - 홈페이지 방문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우리고장의 지명유래를 소개해드립니다.

연혁

  • 1912년 행정구역으로 포천군 가산면 정교리이다. 아래솥다리, 윗솥다리, 벌말 등 3개 마을이 솥발처럼 생겼으므로 솥다리 또는 정교라 하였다하며 1914년 지방행정 구역 개편 때 정교리를 분할하여 일부는 소흘면 고모리에 떼어주고 용화동과 궁촌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정교리라하고 가산면에 편입시켰다.

지명 유래

마을

용화골, 용화동
  • 솥다리 동쪽에있는 마을이다. 지형이 용처럼 생겼다고 하여 용화골이 되었다.
벌말
  • 솥다리 서쪽에 있는 마을이다. 벌판에 있는 마을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아래솥다리
  • 솥다리의 아래쪽에 있는 마을이다. 아래쪽의 솥다리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아랫용화골
  • 용화골의 아래쪽 마을이다. 아래쪽의 용화골 마을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윗솥다리, 이솥다리
  • 위쪽의 솥다리 마을이어서 윗솥다리가 되었고 이씨가 많이 살았다 하여 이솥다리라고도 부른다.
보촌
  • 솥다리 북서쪽에 있는 마을이다. 조씨가 많이 살았다고 하여 조촌이 되었다.

나라터
  • 솥다리 앞에 있는 들이다. 옛날에 국유지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뒤골
  • 아랫용화골 북쪽에 있는 들이다. 아랫용화골 뒤에 있는 들이어서 뒤골이 되었다고 한다.
뒤벌
  • 아래솥다리 서쪽에 있는 들이다. 아래솥다리 뒤에 있는 들이어서 뒤벌이 되었다고 한다.

질마터
  • 윗용화골 남쪽에 있는 산등성이다. 소에 짐을 싣는 질마처럼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늦은해
  • 자주봉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골이 깊어서 해가 늦게 뜬다고 하여 늦은해가 되었다.
범의골
  • 윗솥다리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골이 깊고 으슥하여 범이 나타날 것 같은 골짜기 이어서 범의골이 되었다고 한다.
부처내
  • 용화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산지리
  • 솥다리 북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만드봉
  • 범의골 옆에 있는 산이다. 말의 머리처럼 생겨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솥다리골
  • 솥다리 뒤에 있는 골짜기이다. 솥다리 뒤에 있다고 하여 마을 이름을 따서 지은 이름이다.
안산
  • 솥다리 앞에 있는 산이다. 풍수지리상 마을의 안산이 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양화산
  • 용화동 북쪽에 있는 산이다.

기타

느티나무자리
  • 솥다리 동쪽에 있는 논이다. 느티나무가 있었다고 하여 느티나무자리가 되었다.
늦은해고개
  • 궁말에서 내촌면 진목리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늦은 해 골짜기의 등성이에 있는 고개여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뒷다리
  • 둔지 너머에 있는 다리이다.
말굽자리
  • 윗솥다리 동북쪽 들에 있는 논이다. 이 논에 바위에 말굽 모양의 자국이 있어서 말굽자리가 되었다고 한다.
박석고개
  • 용화골에서 가산리 벌말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살구골
  • 솥다리 북쪽에 있는 논이다. 살구나무가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솥다리고개
  • 용화골에서 솥다리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솥다리로 넘어가는 고개이어서 솥다리고개가 되었다.
약물바위
  • 용화골 남쪽에 있는 바위이다. 바위틈에서 나오는 물이 풍병에 효험이 있는 약수라고 하여 약물바위가 되었다.
홍나물고개
  • 솥다리에서 가산리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지명 유래 제보자: 송요정, 이동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