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고장의 지명유래를 소개해드립니다.
연혁
- 1912년 행정구역으로 포천군 가산면 가산리이다. 화산 아래이므로 화산말 또는 화산이라 하였다. 또 이곳에 시우정이 있으므로 시우골 또는 시우동이라고도 하였다. 1914년 지방행정 구역 개편 때 가산면 추곡리와 방축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가산면에 편입하였다.
지명 유래
마을
가래울, 추곡동
- 시우골 동남쪽에 있는 마을이다. 가래나무가 많았다고 하여 가래울이 되었다. 가래울과 간촌을 통틀어 추곡동이라 부르고 있다.
간촌
- 가래울과 용화골 사이에 있는 마을이다. 대나무가 많았다고 하여 지은 이름이다.
시우동
- 가래울 동쪽에 있는 마을이다. 시우정이라는 정자가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남촌
- 시우골 동남쪽에 있는 마을이다. 옛날에 의령 남씨가 많이 살았다고 하여 남촌이 되었다.
너먼말
- 가래울 서남쪽에 있는 마을이다. 가래울 너머에 있는 마을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벌말
- 가래울 서쪽에 있는 마을이다. 벌판에 있다고 하여 벌말이 되었다.
홍마루골
- 간촌과 가래울 사이에 있는 마을이다. 홍마루라는 벼슬을 지낸 사람이 살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들
구래논
- 가래울 동쪽에 있는 논들이다. 한 고래의 고래논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진골들
- 해산이벌에 있는 들이다. 들이 길게 생겨서 붙여진 이름이다.
해산이벌
- 평촌 서쪽에 있는 들이다. 옛날에 어떤 부인이 길을 가다가 이곳에서 해산을 하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산
된수리
- 가래울 서남쪽에 있는 산이다.
매미동산
- 시우동 서쪽에 있는 산이다. 숲이 우거져 매미가 많이 운다고 한다.
못다리
- 시우동 남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조그만 내를 경계로 한쪽은 고래논이고 한쪽은 건답이어서 항상 건답의 못자리를 고래논에 하였다가 모낼 때 많은 모를 건답쪽으로 옳기던 다리라고 하여 못다리가 되었다.
성탱이
- 간촌 동쪽에 있는 산이다.
홍만화골
- 추곡 중간에 있는 골짜기이다. 옛날에 만호 벼슬을 지낸 홍씨 성을 가진 사람이 살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개울, 보
개성이개울
- 샛말 동쪽에 있는 개울이다.
기타
간촌고개, 박석고개
- 간촌에서 시우동으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간촌에서 넘는 고개여서 간촌고개가 되었고 이 고개에 돌이 박혔기 때문에 박석고개가 되었다.
긴배미
- 구래논 서쪽에 있는 논이다. 논이 길게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섬밭
- 구래논 옆에 있는 밭이다. 논 가운데 섬처럼 밭이 있어서 섬밭이 되었다고 한다.
장사바위
- 시우동에 있는 큰 바위이다. 지금은 없어졌다.
초당고개
- 시우동에서 방축리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옛날에 초당이 있었다고 하여 초당고개가 되었다.
한경도밭
- 개성이개울 동쪽에 있는 밭이다. 얼마나 밭이 긴지 함경도까지 소문이 날 정도라는 우스갯소리에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할딱고개
- 가래울에서 시우동으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몹시 가팔라서 오르려면 할딱거리게 된다고 하여 할딱고개가 되었다.
지명 유래 제보자: 이일우, 안덕호, 남성철, 양무성, 이종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