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감암리

시민과 함께하는 포천시 - 홈페이지 방문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우리고장의 지명유래를 소개해드립니다.

연혁

  • 1912년 행정구역으로 포천군 청량면 감암리이다. 가마바위가 있어 가마바위, 감바위 또는 감암동, 감암이라 하였다. 1914년 지방행정 구역 개편 때 마산리 일부와 청량면 청량리 일부를 병합하여 감암리라 하고 가산면에 편입시켰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이곳의 산줄기 모양은 마치 꿈틀거리는 용과 같은데 산줄기가 건너편 왕방산으로 이어져 굽이굽이 감돌기 때문에 감바위라 부르게 되었다고도 한다.

지명 유래

마을

담방이, 담뱅이
  • 감바위 남족에 있는 말을이다. 마을주위에 용두레와 박두레로 물을 퍼서 농사를 짓는 연못이 많았고 동남쪽에 있는 꽃동산에 진달래가 많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감바위. 감암동
  • 담뱅이 북쪽에 있는 마을로 행정구역상 감암1리이다. 가마바위가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는데 가마바위의 변음으로 생각된다.
당남말, 당남밭, 바위배기
  • 담방이 동남쪽에 있는 마을이다. 닥나무밭이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하고 또는 200여 년 전 이 마을이 처음 생길 때 산마루에 마을 수호신을 모시는 신당이 있어서 이 신당 너머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당넘말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가도 한다. 부락 옆 야산 능선에 넓고 큰 평평한 바위 2개가 포개져 있어서 바위배기라고도 부른다.
웃끝
  • 담방이 위쪽 끝에 있는 마을이다. 이 지역 부락의 맨 위 끝에 있는 마을이어서 웃끝이 되었다.
아래끝
  • 담방이 북쪽 아래 끝에 있는 마을이다. 이 지역 부락의 맨 끝에 있는 마을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대동개
  • 담방이 동쪽에 있는 들이다. 봄철에 보를 막기 위하여 많은 사람이 모이던 곳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뒷논
  • 담방이 서쪽에 있는 들이다. 뒷들 마을 뒤에 있는 들이어서 뒷들이 되었다.
모장들, 마장평
  • 담방이 서북쪽에 있는 들이다. 띠풀로 이른 각시당이라는 신당이 있었기 떄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생각된다.
메끄리끝
  • 담방이 북쪽 끝에 있는 들이다. 작은 야산 끝에 펼쳐진 들이어서 붙여진 이름으로 생각된다.
앞자리
  • 담방이 앞에 있는 들이다. 마을 앞에 있어서 앞자리가 되었다.

공동묘지산
  • 꽃동산 남쪽에 있는 산이다. 공동묘지가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막동골
  • 담방이 서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담방이 마지막 골짜기여서 막동골이 되었다고 한다.
저지락동산
  • 담방이 남쪽에 있는 산이다. 이 산 북쪽의 경사도가 매우 완만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재집골
  • 당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이곳에 기와로 이은 수성 최씨 문중의 재실이 있어서 재집골이 되었다.
큰산
  • 저드락동산 남쪽에 있는 산이다. 이 지역에 거주하는 전주 이씨 문중의 최선대 조상의 묘가 있다. 이 묘를 전주 이씨 문중에서는 큰 산소라 부르고 있어서 큰산소가 있는 산이라고 하여 큰산이 되었다.
꽃동산
  • 담방이 동남쪽에 있는 산이다. 봄이면 진달래가 곱게 많이 피어서 꽃동산이라 부르게 되었다.
살구밭
  • 담방이 동남쪽 곷동산 산기슭이다. 살구나무가 많았으므로 살구밭이 되었다고 한다.

개울, 보

당남말개울
  • 당남말 앞에 있는 개울로 우금천 하류이다. 마을 이름을 따서 지은 이름이다.
장수들보
  • 당남말 동쪽에 있는 보이다. 보에서 들까지 이어지는 봇도랑이 매우 길기 떄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가래나무보
  • 여우내개울에 있는 보이다. 담방이 들의 용수를 공급하는 봇도랑옆에 가래나무가 있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기타

가마바위
  • 감바위 서북쪽 산에 있는 바위이다. 가마처럼 생기어서 가마바위가 되었다.
갓모밭. 감모밭
  • 담방이 동북쪽에 있는 밭이다. 사람이 쓰는 갓처럼 생겨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골밭
  • 저드락동산 남쪽에 있는 밭이다. 산골짜기 안에 쑥 들어가 있는 밭이어서 골밭이 되었다.
복고리고개
  • 담방이에서 당남말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사그밭
  • 앞자리 동쪽에 있는 밭이다. 사기점이 있었다고 하여 사그밭이 되었다. 사기밭의 변음으로 생각된다.
사그밭우물
  • 사그밭 북쪽에 있는 우물이다. 사그밭의 이름을 따서 지은 이름이다.
정지고개
  • 감바위에서 군단앞으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옛날에 이 고개는 사람의 왕래는 자유로웠으나 상여나 가마등은 못 가게 막고 정지 시켰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온수물자리
  • 앞자리 북쪽에 있는 논이다. 온수가 난다고 하여 온수물자리가 되었다.
재집방죽
  • 담방이 남쪽에 있는 못이다. 이 못 근처에 기와로 이은 수성 최씨 재실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지능댕이다리
  • 모장들에서 메끄리끝으로 건너가는 다리이다. 진흙 둔덕이 옆에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초연대
  • 감바위 서쪽에 있는 산기슭이다. 정자터여서 붙여진 이름이다.
깊은자리
  • 메끄리끝 북쪽에 있는 논이다. 웅덩이가 많고 논이 깊었기 때문에 지어진 이름이다.
도당터
  • 담방이 마을 중앙 지점이다. 큰 느티나무가 있었고 그 나무 밑에서 매년 대동굿을 하였다고 하여 도당터가 되었다고 한다.

지명 유래 제보자: 한용우, 이규을, 이규건, 김재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