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고장의 지명유래를 소개해드립니다.
연혁
- 1912년 행정구역으로 포천군 가산면 마산리이다. 산이 말처럼 생기어 말뫼, 말미 또는 마산, 마산동이라 하였는데 1914년 지방행정 구역 개편 때 마산리 일부를 감암리에 떼어주고 후평리, 서원리의 각 일부와 청량면의 마전리 일부를 병합하여 마산리라 하였다. 말미의 뒷산을 기산이라 하는데 한양으로 가는 벼슬아치나 기사들은 이 산 줄기를 따라 한양을 왕래하였다고 한다. 다루는 어떤 관원이 한양으로 가던 중 말이 죽어 이곳에 묻었다고 하여 이곳을 말뫼 또는 말미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지명 유래
마을
뒷들
- 말뫼 북서쪽에 있는 마을이다. 원래 개울 건너편에 있던 마을이 병자호란때 도적들이 많아 모두 이곳으로 옮겨 살게 되었다고 한다. 이 마을은 화산서원이 있는 화봉산 뒤에 있어서 뒷들 또는 후평동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장마당
- 말뫼 북쪽에 있는 마을이다. 이곳에 장이 섯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지금의 가산면사무소 입구 삼거리와 가산농협 사이가 된다.
말미, 마산
- 기산 아래에 있는 마을이다. 기산은 한양으로 가는 벼슬아치나 기사들이 이 산줄기를 따라 왕래하였다는 것이다. 하루는 아떤 관원이 한양으로 가던중 갑자기 말이 죽어 이곳에 묻었다고 하여 말뫼, 마산, 또는 말미로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들
도투장께
- 흙두데기 동쪽에 있는 들이다. 도살장이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뒷벌
- 뒷들 뒤에 있는 들이다. 마을 뒤에 있다고 하여 뒷벌이 되었다.
마루바께
- 도투장께 동쪽에 있는 들이다. 지대가 높아서 마루바께가 되었다고 한다.
매미골
- 말미 동쪽에 있는 들이다. 방죽 옆으로 큰 나무가 많았다고 한다. 이 나무에 매미가 많았기 때문에 매미골이 된 것으로 생각된다.
샛자리
- 앞벌 동쪽에 있는 들이다.
앞벌, 앞들
- 말미 앞에 있는 들이다. 마을 앞에 있다고 하여 앞벌 또는 앞들이라고 부른다.
흙구뎅이
- 말미 앞에 있는 들이다. 동이 흙을 파던 곳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산
당골
- 담뱅이 남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수성 최씨 문중의 사당이 있었다고 하여 당골이 되었다.
개울, 보
서포개울
- 말미 서쪽에 있는 개울이다. 석포정이라는 정자가 있었고 또한 금현천에 약 2m 길이의 자연석이 깔려 석폭포를 이루고 있어서 서포개울이 되었다고 한다.
기타
가마논
- 독논 옆에 있는 논이다. 가마솥처럼 생겨서 지은 이름이라고 한다.
담뱅이고개
- 말미에서 감암리 담뱅이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담뱅이로 넘어가는 고개이어서 담뱅이고개가 되었다고한다.
당골고개
- 당골에서 당남말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당골에서 넘는 고개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당내말고개
- 말미에서 감암리 당남말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당남말로 넘어가는 고개이어서 당내말고개가 되었다.
독논
- 말미 서쪽에 있는 논이다. 돌이 많아서 사람이나 소나 이 논에서 일을 하루만 하면 발이 아팠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돌논의 변음으로 생각된다.
둔지고개, 둔지재, 뒷들고개
- 말미에서 뒷들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들에 있는 둔덕으로 사람이 다니는 길 역할을 하였기 때문에 둔지고개 또는 둔지현이 되었고 뒷들로 가기 때문에 뒷들고개가 되었다.
매미골방죽, 이호방죽
- 매미골에 있는 못이다. 매미골에 있다고 하여 매미골방죽이 되었다. 마산리에는 큰 방죽이 4개 있다. 그 중 2번째 방죽이라 하여 이호방죽으로도 부른다.
버드나무방죽, 사호방죽
- 잣나무저수지 남쪽에 있는 못이다. 버드나무가 많아 버드나무방죽이라고 한다. 마산리에 있는 4개의 큰 붕죽 중 네 번째라고 하여 사호방죽이라고도 부른다.
쌍방죽, 일호방죽
- 뒷들 동쪽에 있는 방죽이다. 쌍으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쌍방죽이 되었고 또한 마산리 4개의 큰 방죽 중 첫 번째라고 하여 일호방죽으로도 부른다.
여개우물
- 말미 동쪽에 있는 우물이다.
여우내고개
- 말이에서 군내면 유교리 여우내벌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여우내벌로 넘어가는 고개여서 여우내고개가 되었다.
잣나무방죽, 삼호방죽, 건방죽, 마른방죽
- 매미골방죽 남쪽에 있는 못이다. 잣나무가 있었다고 하여 잣나무방죽이 되었고 마산리 4개의 큰 방죽중 세 번째라고 하여 삼호방죽으로도 부르고 있다. 또한 물이 잘 마른다고 하여 마른방죽 또는 건방죽이라고도 부른다.
쪽두리논
- 샛자리 북족에 있는 논이다. 족두리처럼 생기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흙두데기
- 족두리논 북쪽에 있는 논이다.
지명 유래 제보자: 이찬우, 최재민, 이관우